코스피 시총순위 1위 삼성전자 주가를 전망합니다.
지난 해 SK하이닉스 직원들이 성과급 잔치를 할 때 삼성전자 직원들과 주주들은 눈물을 흘려야 했습니다.
HBM에 진심이었던 SK하이닉스는 이제 결실을 맺고 있고
"그게 돈이 되나?"라고 반문했던 삼성전자는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테크놀로지에 밀려
엔비디아에 HBM 납품을 하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우리 삼성전자를 믿습니다.,
미국에 애플이 있듯이 대한민국에는 삼성전자가 있기 때문이다.
1. 삼성전자 기업개요
한국 및 DX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SDC, Harman 등 229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입니다. 세트사업은 TV를 비롯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DX부문이 있으며, 부품 사업에는 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DS 부문과 스마트폰용 OLED 패널을 생산하고 있는 SDC가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누구나 아는 회사니 이 정도로 설명하겠습니다.
2. 기업실적 및 재무
2023년에 최악의 실적을 기록한 이후로 실적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영업이익이 줄어들긴 했지만 SK하이닉스에 비해서 나쁜 것이지
대한민국 어느 회사가 이 정도의 실적과 영업이익을 내고 있을까요?
적자 투성이에 세력들이 판치는 1000억이하 코스닥 상장 기업들은 모두 퇴출시켰으면 좋겠습니다.
[4분기 실적]
DS(Device Solutions)부문 매출 30.1조원, 영업이익 2.9조원
메모리는 모바일 및 PC용 수요 약세가 지속된 가운데, HBM(High Bandwidth Memory) 및 서버용 고용량 DDR5(Double Data Rate 5) 판매 확대로 D램 평균판매단가(Average Selling Price, ASP)가 상승해 4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그러나 연구개발비 및 첨단 공정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초기 램프업(Ramp-up)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시스템LSI는 모바일 수요 약세와 첨단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 증가로 영업이익이 하락했다.
파운드리는 모바일 수요 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가동률 하락 및 첨단 공정 연구개발비 증가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2나노 GAA(Gate All Around) 공정은 디자인 키트(Design Kit)를 고객사에 배포해 제품 설계 등 기술 개발을 진행했고 4나노 공정은 안정화된 수율을 기반으로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용 제품을 양산했다.
DX(Device eXperience)부문 매출 40.5조원, 영업이익 2.3조원
MX(Mobile eXperience)는 플래그십 신모델 출시 효과 감소 등으로 스마트폰 판매가 줄어 전분기 대비 매출 및 영업이익이 하락했다.
그러나 연간 기준 갤럭시 S24 시리즈 매출이 두 자릿수 이상 성장하면서 플래그십 제품 매출은 견조한 성장을 보였고, 태블릿과 웨어러블 제품도 판매 수량 및 금액이 모두 성장했다.
네트워크는 국내를 비롯해 북미, 일본 등 국내외 주요 시장에서 매출 및 영업이익이 대폭 개선됐다.
VD(Visual Display)는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연말 성수기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매출이 확대됐으나, 전반적인 수요 정체 및 경쟁 심화에 따른 제반 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소폭 감소했다.
생활가전은 업체간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둔화됐으나, 비용 효율화 등을 추진해 전년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하만 매출 3.9조원, 영업이익 0.4조원
하만은 전장 사업의 안정적 수주가 지속되는 가운데 오디오 제품의 연말 성수기 판매를 확대해 매출이 증가했다.
SDC 매출 8.1조원, 영업이익 0.9조원
디스플레이는 중소형 사업의 경우 전반적인 스마트폰 시장 수요 부진과 경쟁 심화로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했으며, 대형 사업은 연말 성수기 TV 판매 증가로 전분기 대비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출처 : 삼성뉴스룸
3. 주가
드디어 5만8천원을 지지하는 모습입니다.
긴 아랫꼬리를 달고 있는 모습이 더 이상하락을 용납하지 않을 기세입니다.
매수 하기 좋은 타이밍인데 지난 주 미국시장이 급락해서 2/24(월) 매수하기 좋은 타이밍인 것 같습니다.
물론 저는 풀 매수 상태이기 때문에 홀드입니다.
4. 모멘텀
삼성전자의 첫 번째 모멘텀은 HBM입니다.
이거 망하면 이미 성큼 다가온 AI시대에 너무 뒤떨어지게 됩니다.
솔직히 저도 Chat-GPT로 글 써보기도 했는데 성능이 되게 구립니다.
누구는 잘 쓴다고 하는데 저랑은 잘 안 맞는거 같아요.
팩트 체크도 잘 안되고 이상한 똥글만 양산하는 거 같아서 제가 직접 쓰게 됩니다.
두 번째 모멘텀은 삼성 갤럭시S25 출시입니다.
갤럭시 S25가 혜자스럽게 출시하여 저도 갤럭시S25 울트라 모델을 구매했습니다.
당근마켓에 가보면 삼성전자 갤럭시S22 모델이 봇물처럼 거래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보통 3~4년 주기로 교체되는 것을 감안했을 때 강성 아이폰 유저를 제외하고는
많은 이들이 갤럭시S25 모델로 교체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5. 삼성전자 D램 시장 전망 분석
삼성전자의 올 1분기 D램 매출 규모가 크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IT 수요 약세와 HBM 매출 비중의 감소가 D램 평균 판매가(ASP)를 하락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의 D램 매출을 따라잡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1)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는 상황
D램 매출 전망: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D램 매출 추정치는 모두 12~13조 원 내외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 D램 업계 역사상 판매 점유율이 바뀔 수 있는 중대한 순간입니다.
매출 격차: 지난해 4분기 기준, 두 회사간의 D램 매출 격차는 이미 1조 원 내외로 줄어들었습니다.
(2) D램 ASP와 매출 하락
실적 부진: 삼성전자는 1분기 D램 매출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모바일 및 PC 수요의 약세와 HBM 판매 감소로 인해 발생한 것입니다.
ASP 하락: 일부 전문가들은 D램 ASP가 예상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해 두 자릿수 감소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HBM 공급량 감소의 주요 원인
HBM의 공급량 감소는 최근 미국의 D램 제조업체에 대한 중국향 수출 금지 조치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의 HBM
공급량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4분기 HBM 공급량이 20억 Gb 초중반 수준에서, 1분기에는 최대 10억 Gb 초중반대로 축소될 전망입니다.
최악의 경우 10억 Gb 이하로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4) 경쟁사 SK하이닉스의 위치
SK하이닉스는 매출 비중이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HBM 등 고부가 메모리 사업의 수익성이 여전히 강하게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SK하이닉스의 D램 영업이익은 삼성전자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절한 가격 방어에 유리한 조건을 갖췄습니다.
(5) 미래 전망
업계 전문가들은 삼성전자의 D램 매출 및 ASP의 감소가 곧바로 시장 점유율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D램 매출에서 삼성전을 따라잡는다면, 한국 D램 시장의 패러다임이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큽니다.
삼성전자의 D램 매출이 올해 1분기 동안 크게 위축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SK하이닉스와의 경쟁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D램 ASP가 두 자릿수 하락을 보일 가능성, HBM 공급량 감소, 그리고 IT 수요의 약세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두 회사의 D램 매출 규모가 역전될지 여부가 주목됩니다. 향후 삼성전자의 대응 전략과 시장의 반응이 중요할 것입니다.
6. 삼성전자 투자 전략
- 매수 : 50,000원 이하로 내려올 지 모르겠습니다. 53,000원 지지 여부 체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매도 : 현재는 매도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미 추세를 틀어서 주요 저항선을 깨고 상승 추세에 있습니다. 다만 6만원을 강하게 돌파하지 못하면 61,000원에 물량의 절반 정도는 수익실현을 할 예정입니다. 횡보 후 하락 시 분할 매수 하는 관점으로 접근할 예정입니다.
- 결론 : 삼성전자는 포트폴리오에 항상 있어야 하는 기업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금 자리는 잃은 건 적고 먹을 건 많은 손익비가 좋은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밧데리 아저씨 때문에 지옥을 경험 중인 개미들의 반려주식 에코프로 (5) | 2025.02.24 |
---|---|
셀트리온 주가 전망: 최근 흐름을 바탕으로 한 심층 분석 (0) | 2025.02.24 |
미국주식 테슬라(Tesla) 단기 트레이딩 전략 (0) | 2025.02.23 |
카카오 주가 전망: 최근 주가 흐름과 2025년 목표 (2) | 2025.02.23 |
LGCNS 주가 분석: 상장 이후의 시련과 향후 전망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