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는 애증의 주식이 아닐까?
2023년도 7월에 최고의 상승률을 보이다 이후 오랜 시간 하락하기만 했다.
에코프로는 실제 가치보다 너무 오버슈팅이 나왔고
주식시장은 원래 그런 주식을 사랑한다.
그리고 떠날 때는 싸늘하게 떠나간다.
평생 사랑할 것 처럼 사더니
떠날 때는 다시는 만나지 않을 것처럼 판다.
배터리 아저씨 덕분에 돈 번 사람이 많을까? 망한 사람이 많을까? 궁금하다.
관상을 보면 전형적인 사기꾼 관상인데 사람들은 돈만 벌면 문제없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물론 나도 2차전지 투자하지만 작년 연말 폭락이 왔을 때부터 투자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지만
고점에 투자한 사람들은 정말 괴로울 것 같다.
(그나저나 박순혁 이 사람은 망명 언제가냐...)
1. 에코프로 기업개요
- 회사의 법적·상업적 명칭
명칭은 "주식회사 에코프로"이며, 영문명은 "ECOPRO Co., Ltd." 입니다. -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1998년 10월 주식회사 코리아제오륨 이라는 사명으로 설립되어 2001년 02월 주식회사 에코프로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2007년 7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및 홈페이지
- 본사의 주소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과학산업2로 587-40
- 전화번호 : 043-240-7700
- 홈페이지 : https://www.ecopro.co.kr - 주요 사업의 내용
에코프로는 1998년 설립되어 미세먼지 저감 및 온실가스 감축 등의 환경사업과 이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재 제조 사업을 영위하였습니다. 2016년 5월, 당사의 이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재 제조 사업을 물적분할 하여 자회사인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을 설립했으며 2021년 5월, 당사의 환경사업을 인적분할하여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을 설립했습니다. 당사의 주요 사업으로는 자회사에 대한 주식 투자 및 자금조달 지원 등이 있으며 주요 자회사 및 종속회사로는 환경사업부문의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 전지재료사업부문의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이노베이션,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에코프로에이피, 에코프로씨엔지 등이 있습니다.
2. 에코프로 실적
2023년 3분기까지 흑자를 내다가 2023년 4분기부터 적자로 돌아섰다.
주가의 피크가 2023년 2분기 인 점을 감안하면 누군가는 적자로 돌아설 것이라는 것을 미리 안 것은 아닐까 하는
합리적 의심이 든다.
주식은 원래 그런 것이니까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 그냥 던지면 된다. 대응하려고 하지 말고 인정하라.
이상하게도 나는 최고점 신호가 뭔가 느껴진다.
그렇게 상승하는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을 뿐...
3. 에코프로 전망
주요 뉴스를 모아 보았다.
좋은 뉴스와 나쁜 뉴스가 혼재한다.
뭐 누가 알겠는가?
좋은 일이 있다는 것을 알면 전재산 몰빵 쳐서 부자가 될 것
작년에 적자를 기록하고 자금조달이 어려워진 것도 문제이고
2차전지 시장을 중국에서 저가로 공략하고 있으니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에스엔이(SNE)리서치는 6일 “국내 배터리 3사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3.7%포인트 하락한 19.8%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4년 1월부터 11월까지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하이브리드차에 탑재된 배터리를 분석한 결과다. 전체 배터리 사용량은 약 785.6GWh로 전년도 같은 기간에 견줘 26.4% 성장했다.
이 기간 엘지(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은 전년보다 6.9% 증가한 91.4GWh를 기록했다. 11.6%의 시장을 점유하며 전세계 3위를 유지했다. 엘지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는 주로 테슬라, 폭스바겐, 포드, 현대차그룹 등에 탑재됐다. 에스케이(SK)온은 11.8% 증가한 35.3GWh로 점유율 4.5%를 차지하며 5위에 올랐다. 삼성에스디아이(SDI)는 0.1% 증가한 28.9GWh로 7위를 기록했다.
광고
국내 이차전지 3사의 점유율은 시장이 본격적으로 커진 2020∼2021년에 30%대를 기록한 뒤 2022년 1∼11월 24.4%, 2023년 23.5%로 하락세를 보인 뒤 이번에 10%대로 떨어졌다.
전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는 중국의 시에이티엘(CATL)이었다. 28.6% 성장한 289.3GWh를 기록하며 점유율 36.8%를 장악했다. 중국의 비야디(BYD)가 전년보다 35.9% 성장한 134.4GWh(점유율 17.1%)로 2위를 차지했다.
뉴스 기사만 봐도 K배터리가 중국과 경쟁에서 밀리는 모습이다.
배터리셀 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이 1위를 할 것이라는 청사진을 그렸지만 현실은 BYD에도 밀린 3위를 기록하는 모습이다.
배터리에 진심인 나라는 중국이다.
4. 에코프로 주가전망
에코프로의 주가는 2025년 2월 24일(월) 기준으로 67,900원이다.
자회사인 에코프로머티가 주가의 탄력성이 훨씬 좋고 실질적인 회사라고 생각되어
에코프로 투자보다는 에코프로머티에 투자하는 게 유리하다.
이미 지주회사 개념이 되어 버린 에코프로 보다 에코프로머티가 낫다고 본다.
- 매수 : 68,000~70,000원 구간에 매수하여 8만 원에서 정리하는 전략이 나을 것 같다.
- 매도 : 급등이 나왔던 64,000원 언저리에서 매도, 추가하락 시 6만 원 밑에서 재매수
주가는 신도 모른다.
그저 매수하고 물리고 기다리는 것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오는 사기인가 기적인가 글로벌 항암신약 개발기업, 에이치엘비(HLB) 주가 분석 (1) | 2025.02.25 |
---|---|
베이비 버핏 빌 애크먼이 매수한 미국주식 NIKE 나도 사볼까? (6) | 2025.02.24 |
셀트리온 주가 전망: 최근 흐름을 바탕으로 한 심층 분석 (0) | 2025.02.24 |
코스피 시총순위 1위 삼성전자(005930) 주가 전망 (8) | 2025.02.23 |
미국주식 테슬라(Tesla) 단기 트레이딩 전략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