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대한민국 게임회사 모비릭스, 게임회사에서 텐베거가 될 유일한 회사

머니마크 2023. 2. 8. 08:46

한 동안 잊고 있었다.
모비릭스라는 게임회사가 있었다는 사실을

원래 오늘 엠게임에 포스팅 후에는 위메이드 맥스 차례였지만 데빌 헌터 키우기가 구글 인기 앱/게임 순위 1위가 되는 바람에 도저히 참을 수 없었다.
펜데믹 머니로 유동성이 극에 달했던 2021년 상장하여 엄청난 폭등을 계속하다가 거품이 사라지고 이제는 주가가 어느정도 현실을 반영하게 되었다.
당시에 신규 IPO이기 때문에 너무 고밸류라고 생각해 거들떠 보지도 않았는데 오늘 엠게임 보고서 쓰기 위해 구글 앱에 접속했더니 떡하니 1위를 달성한 것이 아닌가?
인기 순위라고 하지만 아무나 1위가 될 수 없다.
인기 순위 1위는 결국에는 엄청난 매출로 이어지고 회사가 새로운 밸류를 부여받을 수 밖에는 없다.

나는 이 회사가 텐베거가 될 것이라고 100% 확신한다.

모비릭스 회사 개요

명칭은 '주식회사 모비릭스'라고 표기하며, 영문으로는 'MOBIRIX Corporation' 이라 표기한다.
2007년 7월 9일에 설립되었으며, 2021년 1월 28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다..
모바일 게임 개발과 글로벌 퍼블리싱 사업을 위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로 캐주얼 및 미드코어 RPG 장르 게임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현재까지 전 세계에 약 300여 이상의 게임을 출시한 경험과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약 200종 이상의 게임을 서비스하고 있다. 매출은 크게 인앱 결제, 광고수익화 및 기타 매출로 구분하고 있으며, 주요 거래처는 인앱 결제(Google, Apple 등), 광고수익화(Google, Facebook 등)의 글로벌 플랫폼들로서 안정적인 거래 및 서비스를 하고 있다. 기타 매출은 기타 계약 및 라이선스 판매 등 비정기적인 매출로 별도의 주요 거래처는 없다..

EPS 827 / BPS 8,335 / PER 15.90 / PBR 1.58
2023년 3분기 매출액 197억원 / 영업이익 25억원 당기순이익 25억원 / 영업이익률 12.83%

2023보다 2025년 2030년이 기대되는 엄청난 기업이다.
1년에 신작을 15개씩 뽑아내는 물량공세는 성공의 방정식이다.
그 만큼 많이 일하고 많이 노력하는 회사라고 할 수 있다.

지난 2022년 7월에는 단기에 주가가 너무 많이 상승하여 거래소에서 변동성 조회 공시를 요구하는 등 주가의 탄력성이 무척 높은 회사다.

모비릭스 사업 개요

2007년 7월 '모바일 게임' 제작 및 공급을 주 사업 목적으로 설립, 국내 이동통신사의 피처폰 대상으로 수십 종의 모바일 게임을 자체 개발 및 서비스하였다.. 2010년 국내 스마트폰용 게임 개발 및 서비스를 시작으로 글로벌 대상 오픈마켓(Google Play Store, Apple App Store 등) 서비스, 게임 퍼블리싱 등 본격적인 사업 확장과 더불어 수익 다각화를 위한 글로벌 광고 수익화 플랫폼을 도입, 지속 성장하고 있다.
'모바일 게임'이란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폰, 태블릿 PC 등 디바이스(device: 특정 기능을 위하여 구성한 기기, 장치, 도구)를 통해 제공되는 게임 형태를 의미한다. 모바일 게임을 사용자와 온라인상으로 거래할 수 있는 글로벌 오픈마켓 플랫폼에 서비스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퍼블리싱'이란 자체적으로 개발하거나 개발자(사)와의 계약을 통해 게임을 배급 및 유통(배포) 하는 행위이며, 그 행위의 당사자를 퍼블리셔라고 한다. 경쟁력 있는 다양한 게임 콘텐츠를 전 세계 대상으로 출시 및 관리, 안정적인 사용자 유입과 사업 성과를 통해 성장하고 있다.

현재 약 200종 이상의 모바일 게임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수많은 게임을 서비스할 수 있는 사업적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한정된 게임 사용자를 통해 인앱 결제 위주의 국내 사업에 초점을 맞추는 국내 다수 게임사들과 달리, 글로벌 사용자들을 다수 게임에 지속적으로 유입시키고, 인앱 결제 및 광고 수익화로서 안정적인 매출 증가와 함께 고수익 창출이 가능한 기반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2020년 기준 약 90%가 해외 매출이었고, 인앱 결제에 비하여 광고 수익화 매출 비중이 높은 편이었으며, 국가별 고른 사용자를 꾸준히 확보하고 있었다.. 그리고 2021년 기준 광고 수익화 매출은 상승 유지하며 국내 인앱 결제 매출 비중이 크게 성장, 광고 수익화 매출과 유사 규모의 매출이 발생 하였다.. 이는 안정적 글로벌 유저풀에 원활한 사업적 운영이 수반되면 타 회사에 비해 고성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2022년 3분기 기준으로는 인앱 결제 매출이 광고 수익화 매출을 뛰어 넘었다.. 광고 수익화 매출의 일부 감소가 있었으나, 인앱 결제 매출의 높은 성장률을 통해 전년 대비 전체 매출을 확대시키고 있다. 또한 최근 모바일과 PC의 영역이 불분명해지는 변화 속에서 글로벌 사용자를 확대하기 위해 기존 Google Play Store와 Apple App store뿐 아니라 갤럭시스토어, Amazon App store, MS Store, Facebook Instant Game 등까지 사업적인 글로벌 마켓 확장을 진행하고 있다.
글로벌 사용자 모객 성장을 위해 풍부한 국가별 사용자들을 활용한 자체 'Cross Promotion'(마케팅 프로모션 형태 중 하나. 게임 사용자에게 다른 게임들을 노출시키는 교차 광고 형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고, YouTube, Facebook 등 적극적인 SNS 활용으로 지속적으로 사용자를 유치하고 있다. 그리고 축적된 노하우를 토대로 한 글로벌 마케팅을 집행하여 글로벌 모바일 게임 사용자 모객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를기반으로 2022년 9월 기준, 월 평균 글로벌 신규 사용자 약 1,200만 내외를 확보하고 있으며, 당사 월간 게임 접속 사용자는 약 3,600만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을 대상으로 남녀노소, 문화 등을 가리지 않는 다양한 모바일 게임 서비스로서 개발 및 운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고, 이를 통해 지속적인 신규 글로벌 사용자 확보와 함께 꾸준한 인앱 결제 수익과 광고 수익화를 실현하고 있다.

(1) 캐주얼 게임
2022년 3분기말 기준 캐주얼 게임에 속하는 220종 내외 게임들을 전 세계 대상으로 출시, 운영 중에 있다. 그중 주요 게임은 아래와 같다..

① 벽돌깨기 퀘스트 (Bricks Breaker Quest)
물리엔진 적용과 함께 스테이지를 접목한 신개념 벽돌깨기를 직접 개발 및 2017년 10월 글로벌 출시, 2022년 9월까지 전 세계 누적 기준 약 1억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하고 있는 대표적인 게임 중 하나이다.
현재 Google Play Store와 Apple App Store, 그리고 '라이트 버전'(게임 전체 중 주요 부분으로 간소화 개발하여 서비스하는 버전)으로 'HTML 5'(웹 문서 제작에 쓰이는 기본 프로그래밍 언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최신 규격으로 별도 설치 없이 웹브라우저 상에서 앱, 게임 등을 바로 제공 가능)용 'Facebook Instant Game'(Facebook에서 관리하는 HTML5 게임 플랫폼 및 제한적 오픈마켓), Galaxy Store, MS Store, Amazon App store 등에서 전 세계 대상 서비스를 하고 있다. 본 게임의 다운로드 상위 국가는 인도, 이집트, 터키, 미국, 멕시코, 베트남, 브라질,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이란 등으로 전 세계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게임은 2022년 3분기말 기준 전체 매출 대비 약 23.50% 내외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당 매출 중 약 68% 내외가 광고 수익화 매출, 약 32% 내외가 인앱 결제 매출로 구성되어 안정적인 Cash-Cow(안정적이며 상당한 매출 점유율을 가진 확실한 수익 창출원이 되는 상품이나 사업)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는 지속적인 앱 고도화 뿐 아니라, 구독결제 서비스도 업데이트, 서비스하고 있다.
② 마블 미션 (Marble Mission)

3개 이상 같은 색상의 구슬을 연결하여 제거하는 단순한 방식의 캐주얼 게임으로서,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해외에서는 적지 않은 사용자 층을 형성하고 있다.

본 게임은 자체 제작, Google Play Store, Apple App Store 통해 전 세계 대상 서비스를 하고 있고, 4,000만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하고 있으며, Galaxy Store, MS Store 까지 플랫폼 서비스 확장을 하였다.. 다운로드 상위 국가는 인도, 이집트,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브라질, 멕시코, 러시아, 파키스탄, 터키 등이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국가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 남녀노소 구분 없이 인기를 끌고 있는 게임이며, 유사한 마블(Marble) 게임 그룹 중 매우 높은 사용자 수를 보유하고 있다.

캐주얼 게임은 일반적으로 개발 기술, 시간 및 비용이 낮게 형성되어 유사 게임들 간 치열한 경쟁이 이뤄지고 있는 반면, 마블(Marble) 게임은 상대적으로 정교한 개발 기술, 시간 및 비용이 높은 편으로 '마블 미션'과 같이 글로벌 시장 반응이 좋은 경우 장기간 꾸준한 사용자 유입 및 매출을 이어갈 수 있다.

해당 게임은 2022년 3분기말 기준 전체 매출 대비 약 3.43% 내외를 차지하고 있고, 해당 매출 중 약 80% 내외가 광고 수익화, 약 20% 내외가 인앱 결제 매출로 구성되어 벽돌깨기 퀘스트(Bricks Breaker Quest)에 이어 꾸준한 Cash-Cow 역할을 하고 있다.

③ 세포 확장 전쟁 (Cell Expansion Wars)
해당 게임은 자신의 세포를 이용하여 공격과 방어, 치유 등의 전략을 구사, 공간을 차지해야 하는 전략 게임이자 간편한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캐주얼 게임이기도 한다.

본 게임은 자체 제작하여 Google Play Store, Apple App Store를 통해 전 세계 대상 서비스를 하고 있고, 최근 Galaxy Store에도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022년 3분기말 현재 1,100만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하고 있으며, 그 상위 국가는 러시아, 미국, 브라질, 터키, 멕시코, 우크라이나, 독일, 아르헨티나, 폴란드, 인도 등으로 주로 북미, 남미 및 유럽에서 인기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게임은 2022년 3분기말 기준 전체 매출 대비 약 1.84% 내외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출 중 광고 수익화 매출은 52% 인앱 결제 매출 비중은 48%로 거의 비슷한 비율로 구성되어 지속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2) 미드코어 게임
2022년 3분기 기준 미드코어 게임에 속하는 30종 내외 게임들을 전 세계 대상으로 서비스, 운영 중에 있다. 그 주요 제품은 아래와 같다..

① 블레이드 키우기 (Blade Idle)
블레이드 키우기는 평범한 약초꾼이 전설의 검을 발견하여 용사로 성장하는 스토리로서, 메인 스테이지와 다양한 던전을 모험하고 아이템을 수집하며 캐릭터를 육성해 나가는 속도감 있는 전투, 그리고 시원시원한 이펙트로 보는 맛을 더한 방치형 RPG이다. 펫, 문양, 유물, 장비, 성장 등 육성에 복합적인 요소를 더한 게임으로, 사용자들이 캐릭터의 성장 및 스테이지 클리어에 몰두하게 하는 방식dl다.

개발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Google Play Store, Apple App Store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고, 2022년 02월 출시 후 다운로드 상위 국가는 한국, 미국, 브라질, 대만, 일본,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 프랑스, 태국 등으로 전세계적으로 고른 인기 분포를 보이고 있다. 해당 게임은 2022년 3분기말 기준 100만 이상의 다운로드와 전체 매출 대비 약 35.48% 내외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출 중 광고 수익화 매출은 약 9% 내외, 인앱결제 매출은 약 91% 내외 비율로 구성되고 인앱결제 매출 사용자 비율이 해외에서도 꾸준히 상승하면서 높은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있다.
② 관우 키우기

'관우 키우기'는 세로 화면 플레이 방식의 방치형 RPG이다. 도트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상단에는 관우가 적을 무찌르고 하단은 위와 관련된 각종 성장 요소를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게임은 삼국지의 실제 스토리를 기반으로 관우 중심 게임 스토리를 즐길 수 있으면서, 쉽게 자신의 관우 캐릭터를 육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발사와의 파트너십 이후 앱을 인수, 직접 개발 및 업데이트를 시행하고 있다. Google Play Store에 2021년 3월, Apple App Store에 2021년 11월 한국 대상으로 출시하였으며, 2022년 7월 글로벌 대상으로 런칭 및 서비스 중에 있다.

해당 게임은 2022년 3분기말 기준 전체 매출 대비 약 3.68% 내외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출 중 광고 수익화 매출은 약 2% 내외, 인앱 결제 매출은 98% 내외 비율로 구성되어 인앱 결제 매출에서 지속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자체 게임으로서 지속적인 컨텐츠 업데이트, 신규 버전 준비 등 향후 성장 가능성에 큰 기대를 하고 있다.

③ 던전기사 키우기 (Dungeon Knight)

'던전기사 키우기'는 '던전'을 공략하는 '기사'(Knight)를 육성하는 게임으로 3D 입체감에 공격력은 물론 스킬, 무기, 클래스, 유물, 펫 등 각종 성장 요소에 접하기 어려운 단위 수치를 통해 다양한 재미를 주고 있다.
쉬우면서 무한 성장으로 이뤄지는 방치형(Idle) RPG 특유의 게임성, 적절한 인앱 결제 설계와 더불어 사용자 친화적인 일부 광고 기반 수익모델 중심으로 호응을 이끌고 있다.

개발사와의 파트너십 이후 앱을 인수, 직접 개발을 통해 성장시키고 있다. 2020년 12월 중 Google Play Store에 서비스, 국내부터 시작된 인기 및 인앱 매출 가능성과 더불어 2021년 3월 Apple App Store에 선보이며 글로벌에서도 꾸준한 성장성을 보이고 있다. 출시 후 2022년 3분기말 현재 130만 이상 다운로드를 기록하고 있고, 그 상위 국가는 한국, 베트남, 일본, 브라질, 필리핀, 미국, 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인도 등으로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고른 인기 분포를 보이고 있다.

해당 게임은 2022년 3분기말 기준 전체 매출 대비 약 3.84% 내외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출 중 광고 수익화 매출은 약 6% 내외, 인앱 결제 매출은 약 94% 내외 비율로 구성되어 인앱 결제 매출에서 지속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모비릭스 투자 아이디어

미래의 성장성이 아주 높은 회사다.
이건 30년차 겜돌이의 직감이다.
뭔가 블리자드, 엔씨소프트 초창기를 보는 느낌의 회사다.
유상증자만 안 때리면 정말 좋은 회사일 것 같다.

지난 12월 19일에 본점 소재지 변경이 있었다.
기존 사무실 604호~707호에서 901호와 902호가 확장된 사무실인 것이다.
쉽게 말해 2개층을 쓴다는 의미다.
이것은 무슨 의미냐 하면 금리인상 및 인플레이션으로 어려운 이 시기에 회사가 성장하고 확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회사의 가장 큰 장점은 유통 주식수에 있다.
대주주 임중수 대표의 지분이 무려 46.52%에 달하고 주요 임원들의 지분도 약 0.5%~1% 수준이다. (임원들은 보호예수가 풀리니 일부 차익실현에 나섰다.)

신생 게임회사는 아니지만 신생처럼 보이는 이 회사는 돈을 꽤 잘 번다.
시총 상위에 랭크되어 있으면서도 적자인 회사와 다르게 꾸준히 돈을 벌고 있다.

신작 데빌 헌터 키우기가 구글 인기 앱/게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건 엄청 대단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매출이 제대로 찍히고 순위에 입성하는 순간 순식간에 상한가로 직행 할 것으로 예상된다.
워낙 유통 주식수가 없다보니 조금만 매수해도 주가가 빠르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지난 해 보다 영업이익은 49%, 당기순이익은 61.3% 줄어들었지만 매출액은 24.7% 증가하여
추후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개선될 것이라고 본다.

이미 텐베거가 되었던 엔씨나 펄어비스 크래프톤 같은 회사는 안정적으로 투자하기에 좋지만
앞으로 10배가 올라갈 회사로 나는 모비릭스를 본다.
현재 게임사 중 시총순위 하위에 랭크된 회사중에 오직 모비릭스만 텐베거가 가능할 것이다.

목표주가 : 100,000원
1차 매수 : 13,000원
2차 매수 : 12,000원
3차 매수 : 10,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