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역에 토즈라는 모임센터가 있다.
토즈에서는 각종 모임이 있는데 여기에 이정웅과 명지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동기들과 일요일마다 토즈에 모여서 게임을 개발한 회사가 있었으니 바로 오늘 소개할 위메이드플레이(구. 선데이토즈)다.
소셜과 캐주얼을 접목하여 애니팡 하트를 얻기 위해서 헤어진 여친과 손절한 친구에게도 하트를 보내게 했던 전설의 게임이다.
60초 제한 시간에 7종류의 동물(원숭이, 고양이, 돼지, 쥐, 토끼, 강아지, 병아리)로 구성된 7*7 블록에서 동물블록 위치를 바꿔서 3마리 이상 정렬하는 게임이다.
최전성기 때에는 하루이용자 700만명에 동접자 200만명이라는 국민게임 중의 하나로 카톡공해를 유발한 주범으로 애니팡 이후에 출시한 많은 게임들이 유사한 바이럴 마케팅을 시도하였고 필자의 경우 애니팡 이후로 게임 관련 알람을 무조건 끄고 있다. (쉴세 없이 오는 카톡 메시지로 노이로제 걸릴지경)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니팡IP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유명한 IP 중 하나이고 캔디크러시 사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잘 만든 게임하나는 그 회사를 평생을 먹여살리는 알토란 같은 캐시카우다.
게임회사에서 부동산 늘리고 사람 많이 뽑으면 회사가 잘 되고 있다는 증거다. 몽말인지 알지?
위메이드플레이 기업개요
명칭은 '주식회사 위메이드플레이'이고, 영문명은 'Wemade Play Co., Ltd.' 이다.
2022년 3월 31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정관 일부 변경의 건이 승인됨에 따라, 회사의 상호가 '주식회사 선데이토즈(SundayToz Corp.)'에서 '주식회사 위메이드플레이(Wemade Play Co., Ltd.)'로 변경되었다.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등을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다. 주요 게임으로는 '애니팡' 시리즈, '디즈니 팝 타운', '위 베어 베어스 더 퍼즐', 'Slot Mate' 등이 있으며, 주로 모바일 게임을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주요 매출원은 모바일 게임을 오픈마켓 플랫폼에 출시하여, 게임 내 유료 아이템 판매를 통해 발생한 인앱 결제 매출과 광고 수익화 플랫폼을 통해 광고를 공급받아 게임 이용자들에게 노출하여 발생한 광고 수익 등이 있다.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모바일 게임을 개발하고 국내외에 출시하여 지속적인 성장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EPS -130 / BPS 20,161 / PER N/A / 업종PER 23.69 / PBR 0.74
2023년 3분기실적
매출액 335억원 / 영업이익 7억원 / 당기순이익 41억원 / 영업이익률 2.01% / 순이익률 12.16%
장부가치보다 저렴한 게임회사
위메이드플레이 사업개요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등을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주로 모바일 게임을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주요 모바일 게임으로는 2012년 애니팡을 시작으로, 2013년 애니팡 사천성, 2014년 애니팡2, 아쿠아스토리, 2015년 상하이 애니팡, 애니팡 맞고, 2016년 애니팡 포커, 애니팡3, 애니팡 터치, 2017년 애니팡 섯다, 스누피 틀린그림찾기, 2018년 위 베어 베어스 더 퍼즐, 슬롯메이트, 2019년 디즈니 팝 타운, 2020년 애니팡4, 파워퍼프걸 스매쉬, 2021년 BT21 팝스타, 니모의 오션라이프, 2022년 슬롯메이트 앱 버전을 글로벌과 아시아 지역에 출시하고, 니모의 아쿠아팝을 아시아 지역에 출시했다.
게임 제작 및 서비스의 단일 영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매출은 모바일 게임 매출과 광고 등 기타 매출로 구분됩니다. 즉 주요 매출원은 모바일 게임을 오픈마켓 플랫폼(Google Play Store, Apple AppStore, One Store 등)에 출시하여, 게임 내 유료 아이템 판매를 통해 발생한 인앱 결제 매출과 광고 수익화 플랫폼(Google AdMob, Facebook, Unity Ad 등)을 통해 광고를 공급받아 게임 이용자들에게 노출하여 발생한 광고 수익 등이 있다. 2022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1,018억원으로, 이 중 모바일게임 매출은 787억원, 광고 등 기타매출은 231억원이며, 지역별 매출은 국내 473억원, 해외 545억원을 기록했다.
판매 전략은 주기적인 게임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의 흥미를 유지시키고, 고객분석을 통해 다양한 이벤트를 실시하는 것이다. 또한 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소셜그래프를 활용하고, 기 서비스 중인 게임과 새로 출시하는 게임의 공동마케팅 전략인 크로스프로모션을 이용하고 있다.
게임 개발을 위한 기업부설연구소에서는 모바일게임 개발 및 관련 제반 기술, 게임 엔진, 대용량 처리 기술, 게임플랫폼, 게임 보안기술 등으로 모바일 게임과 관련된 다양한 원천 기술들을 연구하고 이를 자사의 게임 개발에 응용함으로써 고품질의 경쟁력 있는 모바일 게임을 개발할 계획이다.
향후에도 기 출시 게임의 안정적인 운영과 애니팡 IP 및 자체 제작 IP, 해외 유명 IP 등을 활용한 신작 개발을 통해 다양한 연령대의 유저가 즐길 수 있는 게임을 개발하고 국내 및 글로벌 출시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위믹스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해외 판로 개척과 안정적인 유통망 확보를 더한 신작들로 P&E(Play&Earn) 대표 주자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다.
위메이드플레이 투자아이디어
2022년 2월 10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이호대, 장현국, 김태용 3인을 이사로 선임하였고
이호대 사내이사를 대표이사로 선임하였다.
이호대 위메이드플레이 대표가 애니팡 지식재산권(IP) 리브랜딩과 블록체인 서비스로 내년 성장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고 애니팡 IP 리브랜딩, 확장 효과가 더해질 내년에 다수 신작 출시와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시작해 더 큰 성장을 일궈 낼 것으로 기대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위메이드플레이는 위메이드에 2022년 인수된 이후에 연간 매출이 1340억원으로 전년대비 27% 증가안 매출액을 기록하였으며 2014년(1441억원) 이후 최대 매출이다.
애니팡 IP 리브렌딩을 준비중에 있으며 1분기에 첫 P&E(Play & Earn) 게임 ‘애니팡 블라스트; ‘애니팡 터치’, ‘애니팡 코인스’등 캐주얼 게임 3종을 해외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위메이드플레이는 대주주 변경 이후에 소셜카지노 자회사 플레이링스와 합병하여 사무공간이 확장되어 3분기 재무제표를 보면 부동산 비용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업 기업이 공장을 늘리면 케파 증설이라고 하는데 게임회사도 역시 제조업의 일종으로 사무실와 인원의 증가가 곧 케파 증설을 의미한다.
위메이드플레이의 가장 큰 성장성은 바로 P&E와 애니팡IP의 결합이라고 볼 수 있다.
단순히 게임을 즐기는 것이 아닌 플레이를 통한 보상체계를 만든다는 것이 위메이드의 비전이고 가장 적합한 수익모델이 애니팡이었기 때문에 장현국 대표가 위믹스를 팔아서 회사를 인수한 것이 아닌가? (코인 거품꺼지기 전에 장부가치로만 2300억원인 회사를 1,367억원에 샀으니)
코인과 결합된 애니팡의 미래에 대한 의심이 들긴 해도 위메이드플레이의 BPS는 20,161원으로 게임회사로는 이례적으로 장부보다 낮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
앞으로 성장성은 크고 현재 가치는 저평가 되어 있으며, 든든한 후원자 위메이드가 밀어주는 데 투자하지 않을 이유가 있을까? 장현국 대표가 호구라서 1,367억원을 들여서 선데이토즈를 인수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지금 사면 장대표보다 싸게 사는 것이니까 마음 놓고 매수해도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목표주가 : 18,000원
1차 매수 : 14,000원
2차 매수 : 12,000원
3차 매수 : 10,000원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엔터테인먼트 회사 에스엠, H.O.T에서 에스파까지 아이돌 왕국을 세운 이수만 전 총괄프로듀서에 대한 리스펙 (2) | 2023.02.12 |
---|---|
대한민국 엔터테인먼트 회사 HYBE, BTS와 NCT를 모두 가진 미친 회사 (1) | 2023.02.12 |
대한민국 게임회사 모비릭스, 게임회사에서 텐베거가 될 유일한 회사 (1) | 2023.02.08 |
대한민국 게임회사 엠게임, 23년간 변화는 없지만 괜찮아 돈 잘 버니까 (0) | 2023.02.08 |
대한민국 게임회사 미투젠, 카지노에 가지 말고 카지노에서 배당을 받아라. 그리고 주가도 너무 싸다. (0) | 2023.02.07 |